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미용예술학과

Beyond Korea, Global Leader

글로벌 뷰티트렌드 리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X

전공역량표

미용예술학과 전공 역량표

미용예술학과 전공 역량표
창신대학교 역량 미용예술학과 전공역량 내용
CLEAN역량 세부역량 핵심역량 세부역량
창의융합역량 비판적 사고력 기초  감성  역량 1예술적 감성 개발 ·예술 문화의 이해와 감상 ·감성 개발을 위한 미학적 사고력 ·색채의 이해와 디자인 감각
공감소통역량 감성이해력 2창의적인  발상능력 ·사고의 전환, 아이디어 도출 ·미용분야에 대한 기본 감성 함양 ·인문, 사회과학에 대한 기초 감성지식 함양
창의융합역량 창의혁신력 3작품이해와 평가역량 ·주제와 컨셉의 이해  ·재료와 기법의 이해 ·작품분석 및 평가
주도적 탐구능력 ·건강한 신체적, 정신적 서비스 자세 ·신체 건강의 이해 ·인체 해부학적 이해 ·위생, 보건학적 건강 지식 함양과 실천
사랑헌신역량 건강한 인성 휴먼 서비스 역량 ④건강한 인성과 신체 ·지속적인 자기 개발 자세 ·반성, 비판적 사고 개발 ·직업적 자긍심 및 책임감 함량
사랑헌신역량 서비스지향성 ⑤서비스에 대한 직업윤리 ·좋은 서비스 실천을 위한 헌신 ·공감과 소통의 갖춘 봉사의 이해 ·지속적인 지역사회 기여
사랑헌신역량 나눔과 배려 ⑥봉사 실천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력 ·공동체의 이해와 존중
창의융합역량 주도적 탐구능력 뷰티 리더  역량 ⑦인간적 리더 ·사회적 공감 및 융합 ·정보화 기술의 활용을 통한 협업, 소통 ·조직 커뮤니케이션, 경영관리 ·뷰티 산업체와 실무의 이해 ·창업설계 및 운용
공감소통역량 긍정적 소통능력 ·글로벌 문화와 뷰티산업의 이해 ·글로벌 뷰티 트렌드의 이해 ·영어구사능력, 제2외국어(일본어, 중국어 등)의    활용능력
사회적 공감능력 ⑧사회적 리더 ·네일아트 디자인표현 ·손발톱의 구조와 기능, 질환의 이해 ·매니큐어와 패디큐어의 이해와 실기수행 ·기술종목 재료의 사용과 테크닉 수행 ·살롱아트의 표현과 고객관리 실무
네트워크역량 사회적 협업 ·피부구조 및 기능의 이해 ·피부 분석 및 화장품 적용 ·안면 기초피부관리의 이해와 실기수행 ·안면 응용, 특수 피부관리의 이해와 실기수행 ·체형관리의 이해와 실기수행 ·발 건강관리 실기수행 ·자연 & 대체요법 관리 ·기기관리의 이해 및 메디컬 케어 ·미용 임상연구 및 적용
다중시민역량 문화적 포용력 ⑨글로벌 리더 ·고객상담 및 헤어트렌드 이해 ·두상과 헤어의 이해와 실무 기초이론 ·두피, 모발의 진단과 관리 ·커트의 각도와 형태의 이해 및 실기수행 ·퍼머의 원리와 스타일 적용 ·염색과 탈색의 원리와 실기수행 ·드라이, 업스타일 기술 함양
인지적 유연성 ·고객 스타일 분석 및 상담 ·색채표현과 드로잉 ·기초메이크업의 이해와 실기수행 ·트렌드의 이해와 응용메이크업의 실기수행 ·아트메이크업의 발상과 표현 ·특수 분장 기술 함양 ·웨딩 실무의 이해와 스타일링 ·바디아트의 구상과 예술적 창작
국가 세계 시민성 ·전공별 트렌드 연구 ·산업적 트렌드 분석과 마케팅 적용 ·디지털 사고 및 정보화기술
창의융합역량 - 사랑헌신역량 융합적 사고력 창의혁신력 - 서비스지향성     뷰티 실무 역량 ⑩네일 아티스트  ·전공별 실무 연계 수행 ·패션, 뷰티의 통합적 스타일링 ·과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예술적 표현
⑪피부 관리사 ·프로젝트의 기획 및 설계 ·주제에 따른 수행방법 도출 ·체계적 기술, 표현 및 발표
⑫헤어 디자이너 ·고객상담 및 헤어트렌드 이해 ·두상과 헤어의 이해와 실무 기초이론 ·두피, 모발의 진단과 관리 ·커트의 각도와 형태의 이해 및 실기수행 ·퍼머의 원리와 스타일 적용 ·염색과 탈색의 원리와 실기수행 ·드라이, 업스타일 기술 함양
⑬메이크업 아티스트 ·고객 스타일 분석 및 상담 ·색채표현과 드로잉 ·기초메이크업의 이해와 실기수행 ·트렌드의 이해와 응용메이크업의 실기수행 ·아트메이크업의 발상과 표현 ·특수 분장 기술 함양 ·웨딩 실무의 이해와 스타일링 ·바디아트의 구상과 예술적 창작
창의융합역량 주도적 탐구능력 전문 연구 역량 ⑭정보의 이해와 분석 ·전공별 트렌드 연구 ·산업적 트렌드 분석과 마케팅 적용 ·디지털 사고 및 정보화기술
네트워크역량 디지털 역량
컴퓨팅적 사고
창의융합역량 융합적 사고력 ⑮융합적 탐구능력 ·전공별 실무 연계 수행 ·패션, 뷰티의 통합적 스타일링 ·과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예술적 표현
주도적 탐구능력 ⑯프로젝트 수행능력 ·프로젝트의 기획 및 설계 ·주제에 따른 수행방법 도출 ·체계적 기술, 표현 및 발표